1. 해당 단원 성취 기준
- 6국 01-04 자료를 정리하여 말할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한다.
- 6국 01-05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
- 6국 04-01 언어는 생각을 표현하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수단임을 이해하고 국어 생활을 한다.
2. 관련 국어과 교과 역량
이 단원은 자료 정보 활용 역량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 분석,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의사를 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단원이다. 다양한 자료를 알아보고 주제에 따라 자료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자료를 검색하고 발표 내용을 구성하도록 한다.
3. 발표 주제 및 학생 발표 작품
- 김치 : miricanvas.com/v/1bx900
- 봄꽃 : miricanvas.com/v/1c1dj7
- 특이한 이름을 가진 꽃 : miricanvas.com/v/1bq58q
- 캐나다의 관광지 : miricanvas.com/v/1btelu
-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음식 : miricanvas.com/v/1114svs
- 독특한 강아지의 종류 : miricanvas.com/v/110l49z
- 쿠키런의 역사 : miricanvas.com/v/110iglb
-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 의상 : miricanvas.com/v/110ubjt
-
꽃말이 예쁜 꽃과 슬픈 꽃 : miricanvas.com/v/110nsop
-
우리나라의 전래 동화 : miricanvas.com/v/110l5hq
- 아이돌의 역사 : 발표자료를 상당히 깔끔하고 구성력 있게 만들어서 발표하였다. 아이돌의 어원을 알려주고 우리나라 최초의 아이돌부터 1-3세대 아이돌까지 아이돌의 특징을 구분짓고 대표 아이돌을 사진 자료를 선택해 발표자료를 구성하였다. 코로나로 인해 줌으로 수업을 하였기에 발표자료가 아이들에게 좀 더 가까이 보일 수 있었고, 발표자의 목소리도 또박또박 들렸다는 장점이 있다. 학생들이 흥미 있어하는 주제이면서도, 발표 내용을 발표자가 숙지하고 있어 물 흐르듯 이어간 발표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전화기의 역사 : 이 자료 역시 연도별로 발표자료를 구성하여 핸드폰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미래의 핸드폰에 대한 상상력을 조금 더 가미해서 발표를 마무리했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지만 발표자료의 전체적인 틀이 일정하고 깔끔하게 구성되어 있어 듣는 이에게 좀 더 편한 발표자료였다는 점이 돋보인다.
![]() |
![]() |
![]() |
![]() |
![]() |
![]() |
![]() |
4. 발표 내용 구성시 주의 사항
제일 중요한 것은 발표 주제이다. 아이들의 흥미를 끌만한 주제, 내가 잘 아는 주제, 시대성이 있는 주제를 설정해야 자료조사가 쉽고 발표할 때 설명을 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발표자의 발표 태도이다. 알맞은 빠르기, 적당한 목소리와 톤, 그리고 시선 처리 등을 연습해야 한다. 발표를 한다고 하면서 조사한 내용을 그대로 읽는 아이들이 많다. 읽는 것과 전달하는 것은 다른 부분이다. 전달이라는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이해도를 고려하면서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발표자료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읽게 되면 듣는 이의 흥미가 떨어지고 집중력도 떨어뜨릴 수 있다. 발표 자료에는 시각적 이미지 위주로, 텍스트는 최소한으로 넣어서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내가 발표할 주제와 자료의 어울림이다. 가령 다양한 애완동물에 대해 소개할 때는 사진 자료가 적절하지만, 애완동물의 장기나 특이한 묘기를 보여줄 때는 동영상 자료가 필요하다. 또한 동영상 자료를 넣을 때는 동영상의 길이가 전체 발표의 길이에 비해 너무 길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아이들의 발표는 3-5분 사이로 구성함으로 자료로 쓰이는 동영상은 1분이 넘지 않도록 한다. 발표 내용을 구성한 후에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발표 연습을 적어도 2-3번은 해보는 것이 좋다. 자신이 발표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찍어서 발표자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 확인하거나 거울을 보고 연습한다면 시선 처리, 손동작, 바른 자세 등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학년_국어_주장과근거를판단해요_주장하는글쓰기 (0) | 2022.07.12 |
---|---|
공부를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은 무엇이 다를까? (0) | 2022.07.01 |
6학년_국어_비유하는표현_비유하는표현시쓰기 (0) | 2022.06.22 |
6학년_수학_도형_각기둥과 각뿔 (0) | 2022.06.22 |
'생각의 힘'을 기르는 교육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