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도형 단원 성취 기준
- 6수02-06 각기둥과 각뿔을 알고, 구성 요소와 성질을 이해한다.
- 6수02-07 각기둥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다.
2. 관련 수학과 교과 역량
영 역 | 단원 학습 목표 |
내용 | 1. 각기둥과 각뿔을 이해한다. 2. 각기둥과 각뿔의 여러 가지 구성 요소와 성질을 이해한다. 3. 각기둥의 전개도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릴 수 있다. |
교과 역량 | 1. 각기둥과 각뿔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 도형에서 각기둥과 각뿔을 찾을 수 있다. < 추론 > < 의사소통 > 2. 각기둥과 각뿔의 밑면과 옆면을 이해하고, 밑면의 모양에 따라 이름을 말할 수 있다. < 문제 해결 > <창의 융합 > < 의사소통 > 3. 각기둥과 각뿔의 모서리, 꼭짓점, 높이를 이해하고 찾을 수 있다. < 추론 > < 의사소통 > 4. 각기둥의 전개도를 알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릴 수 있다. < 문제 해결 > < 추론 > < 의사소통 > < 정보 처리> 5. 각기둥과 각뿔에서 꼭짓점의 수, 면의 수, 모서리의 수 사이의 규칙을 찾고 친구들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문제 해결 > < 추론 > < 창의 융합 > < 의사소통 > < 태도 및 실천 > 6. 각기둥과 각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물을 구상하여 만들 수 있다. < 추론 > < 창의 융합 > < 의사소통 > < 정보 처리 > < 태도 및 실천 > |
3. 만들고 싶은 건축물 만들기
1. 준비물 : 이쑤시개 1통, 클레이 1 Set
2. 예비 단계
- 삼각뿔 -> 사각뿔 -> 오각뿔 / 삼각기둥 -> 사각기둥 -> 오각기둥
- 순서로 만들어 보며 구조 익히기 (꼭짓점, 모서리의 개수 세어보며 몇 개가 필요한지 생각해 보기)
- 꼭짓점을 너무 작게 만들면 구조가 불안정함을 인지 시켜 줌.
3. 만들고 싶은 건축물 만들기
아이들의 상상력은 생각보다 다양하며 창의적이다. 기존의 있는 건축물을 살펴보고 특징을 발견해 모방해서 만들어도 좋겠지만, 꼭 건축물 사진을 보지 않고도 다양한 모양의 건물 구조가 나왔다. 아이들의 개성과 각뿔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던 시간. 이쑤시개와 클레이 하나로도 이렇게 즐거워할 수 있다니! 체육보다 수학이 더 재밌다는 아이들의 답변, 자신의 생각을 확장해 가는 것은 머리를 쓰는 것은 정말 즐거운 일이다.
4. 아이들 작품
![]() |
![]() |
![]() |
![]() |
![]() |
![]() |
![]() |
![]() |
![]() |
첫 번째 학생은 원의 중심과 같이 같은 거리에 있는 이쑤시개로 중심을 잡은 뒤 구조물을 완성하였다. 세번째 학생은 대칭 구조를 이용해 양 옆의 구조물이 똑같은 구조를 띄도록 만들었으며, 원 모양 구조를 만든 학생은 이쑤시개를 빽빽하게 배치해 원 모야에 가까워지도록 구조물을 완성하였다. 하트 모양을 깃발처럼 꽂은 구조물을 만든 학생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점점 좁아지는 구조로 무게 중심을 잡았다. 삼각형이 여러 개 이은 모양으로 점진적으로 모양을 좁아지게 하였다. 하트 모양의 구조물을 만든 학생은 오각형 3개가 합쳐진 모양으로 하트를 완성했으며, 별 모양 학생은 오각형과 삼각형을 사용해 별의 대칭점을 잘 잡아 구조물을 완성하였다.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를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은 무엇이 다를까? (0) | 2022.07.01 |
---|---|
6학년_말하기_짜임새있게구성해요_자료찾아발표하기 (0) | 2022.06.28 |
6학년_국어_비유하는표현_비유하는표현시쓰기 (0) | 2022.06.22 |
'생각의 힘'을 기르는 교육 (0) | 2022.06.22 |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교원이 지녀야 할 역량은?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