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6학년_국어_우리말을가꾸어요_우리말사용실태신문만들기

by Hiiiiiit! 2022. 7. 19.
반응형

1. 단원 성취 기준

  • 쓰기 6국03-04 적절한 근거와 알맞은  표현을 사용하여 주장하는 글을 쓴다.
  • 문법 6국04-06 일상생활에서 국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 듣기 말하기 6국01-05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 

 

2. 단원 국어과 교과 역량

  이 단원은 자기 성찰 계발 역량(삶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반성하고 탐색하며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요한 재능과 자질을 계발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습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신의 언어 생활을 점검해 보고 올바른 우리말 사용에 대해 스스로 반성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도덕 교과의 '성찰' 덕목과도 관련지어 지도할 수 있으며, 자기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도록 수치화(수학 그래프 단원의 통계 활용)를 하여 언어 사용에 대한 성찰이 일어나도록 한다. 말이라는 것은 휘발성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상황이나 분위기에 휩쓸여 뱉어내고 자신이 한 말을 인지하지 못하며 문제점을 생각해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중학교 때 나도 모르게 썼던 '짜증난다.'라는 단어를 친구가 하루에 몇 번이나 하는지 세어 줬을 때 깜짝 놀라고 나도 모르게 이렇게 짜증난다는 말을 많이 하고 있었구나 라고 깨달았을 때가 있었다. 아이들도 단순히 친구들이 다 쓰니까, 뜻을 알지 못하면서도 비속어나 줄임말을 쓰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른 말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도와 단어의 뜻을 알아보는 언어적 접근을 함께 하여 바른 말에 대한 전반적인 성찰을 통해 자기 성찰 계발 역량을 기르도록 한다. 

 

3. 단원 지도의 실제 

1. 언어적 접근

  바람직하지 못한 언어 습관의 예로는 비속어 사용/ 줄임말 사용/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 등이 있다. 먼저 비속어에 속하는 단어는 주로 욕(*나/ *발/ 썅 등 )이 많다. 욕의 어원에 대한 설명과 욕을 들었을 때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변화 (EBS 욕 뇌를 공격하다 : 욕을 했을 때 일반 단어보다 욕이 머릿속에 4배나 더 잘 기억됨) 를 지도해 아이들이 욕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와 뜻을 알지 못하고 썼던 욕이 '성'과 관련된 것임을 않도록 한다. 두번째로 줄임말은 2022년 신조어 테스트에 있는 단어들(점매추/ 억텐/ 찐텐/ 팬아저 등)을 보여주고 뜻을 유추해 보도록 한다. 신조어의 뜻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불편함이 생기고 서로 알아듣지 못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 장애가 일어나기 때문에 신조어 사용이 바람직하지 않은 언어습관임을 알게 한다. 마지막으로 무분별한 외국어 사용이다. 거리의 많은 간판들, 브랜드명, 아파트 이름, 학원 이름, 음식이름 등 생활 속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찾도록 한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서 우리말로 쓸 수 있는 것들도 외래어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말 속에서 외국어가 갖는 비중이 높아지는 이유(외국어를 사용하면 더 있어보임)를 생각해 보도록 하고 우리 고유말의 아름다움을 알 수 있도록 한다. 

 

2. 수치화 : 한 눈에 사용 실태 알아보기

 수학 그래프 단원의 통계화를 접목해 아이들이 조사할 우리말 사용 실태의 범위를 정하고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 통계(원그래프/ 띠그래프/ 막대그래프) 과정을 거치면서 수치화 해보도록 한다. 

노래 가사 속 우리말 실태 조사
노래 가사 속 외국어와 한국어
학교 앞 외래어 간판을 우리말로 바꾸기
친구들과 주고 받은 메세지에서 비속어 사용
급식 소식지 속의 외래어 사용

  수치화의 첫 번째 과정은 주제와 조사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이면 몇 회의 방송을 볼 것인지, 노래면 어떤 노래 1곡을 지정, 주변의 간판이면 동네는 어디까지 범위로 할 것인지 등을 정해서 주제와 조사 범위를 구체화하도록 한다. 두 번째는 데이터 수집이다. 데이터를 수집할 때 원그래프나 띠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100%의 퍼센트를 바꾸기 쉽도록 데이터 갯수를 정하면 좋다. 6월 소식지를 주제로 한 모둠의 경우 식단표에 나와있는 식단은 전체 99개였으나 100개로 가정하여 통계처리를 하도록 하였다. 노래 'That That'을 조사한 모둠의 경우 막대 그래프로 통계 처리를 하였는데 가장 비속어와 욕은 각각 1개가 나온 반면 영어는 328개로 물결 처리를 하여 통계 그래프를 그렸다. 수치화 과정을 통해 일상 생활 속에서 접하는 방송 프로그램/ 노래/ 식단표/ 간판 등에서 우리말이 얼마나 파괴되고 있는지를 깨닫도록 한다. 

3. 자기 성찰 

  일상 생활속에서 비속어/ 줄임말/ 외래어를 얼마나 자주 접하는지를 깨닫고 나의 언어 사용은 어떠한지 살펴본다. 내가 자주 사용하는 외국어/ 줄임말/ 욕설이나 비속어를 적어보고, 어디서 이런 말을 처음으로 접했는지를 떠올려 본다. 나는 이 단어의 뜻을 알고 사용하는 것인가? 아니면 친구들에게 전해 듣고 뜻을 짐작해 쓰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또 나와 친구들이 주고 받은 문자를 보고 하루동안 나는 이러한 단어들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횟수를 적어본다. 무엇보다도 말은 그 사람의 인격을 나타내는 수단이며, 무의식의 나에게 주는 영양분임을 인지하고 나의 언어 생활을 어떻게 바꾸면 좋을지에 대해 언어 생활 선언문을 만들어 발표하며 자신의 언어 생활에 대해 자기 성찰을 하도록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