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미래 교육 : 1분 스피치! _국어_효과적으로발표해요.

by Hiiiiiit! 2022. 9. 16.
반응형

 미래 역량에 대한 강의를 듣다가 미래에는 hard skill(기술 활용 능력)도 중요하지만 soft skill(의사소통/ 리더쉽/ 공감 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듣고 이런 수업 해보면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쓰는 글! 국어 교과 4단원에 보면 효과적으로 발표해요 라는 단원이 있다. 다양한 매체 자료를 살펴보고 주제에 맞는 매체자료를 찾아서 발표자료를 영상으로 만드는 수업인데- 사실 가장 좋은 자료는 자기 자신 아닐까?! 자료가 아무리 훌륭하다 한들 전달자가 의사소통 능력이 떨어지면 말짱 도루묵..... 

 특히, 아이들이 피피티를 만들거나 자료를 만들어서 발표하는 경우 그것을 줄줄이 읽거나 혹은 자신이 조사한 내용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해서 본인도 이해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표하기가 일쑤다. 목소리가 개미만해서 뒤에 친구들은 듣지 못하거나 머리를 빙빙 꼬거나 말이 엄청 빨라지거나... 발표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집중이 안되는 ㅠㅠ 그래서 내가 생각한 수업은 

1. 발표 주제 선정

자신아 가장 잘 아는 것을 주제로 한다. 왜냐? 나는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서 친구들에게 그 분야를 알려줄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가장 잘 아는 것으로 그리고 본인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주제로 한다. 게임도 되고 웹툰도 되고 책도 괜찮고 아니면 자신이 경험한 것도 괜찮고 무엇이든 상관없다. 그리고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친구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니까 물론 주제도 흥미성 / 시의 적절성 등을 고려해서 정할 수 있으면 더 좋다.!

2 . 줄글 쓰기

  발표 주제를 정했으면 이제 자신이 발표할 주제에 대해서 글로 써본다. 한마디로 시나리오 작업! 머릿속으로 자신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소개할지 소개글을 써본다. 이렇게 글로 써볼때 조금 더 자연스럽게 내용이 연결되고 자신이 해야할 말들을 잘 정리할 수 있다. 

3. 줄글을 쓰면서 + 자료 찾기

 줄글을 쓰라고 하면 아마도 대부분은 머릿속에 든 게 없다는 걸 알게될 거다. 그래서 줄글을 쓰면서 자료를 같이 찾는다. 주제에 맞는 매체 자료 (책/ 신문/ 잡지 등에서 그림 사진 도표 나 디지털 영상 매체 등)를 검색해 보고 그 중에 발표할 내용을 취사 선택한다. 1학기에 이미 한번 자료 수집을 해보았기에 어떤 자료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자신의 주제에 맞는 매체 자료는 아마도 잘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4. 1분 영상 녹화하기

 이 부분이 사실 가장 핵심이다. 교과서에 보면 자료를 편집해서 영상을 만들라고 했는데 가장 좋은 자료는 본인 자신임!! 그래서 줄글로 쓴 부분을 생각하면서 발표영상을 1분 녹화로 해본다. 녹화된영상 속에 발표하고 있는 자기 자신을 보기가 살짝? 아니 많이 민망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발표를 객관적으로 보게 되고(메타 인지)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습을 할 수 있다. 발표할 때 나의 시선 처리는 어떠한지/ 억양은 어떠한지/ 발음은 또렷한지/ 말의 빠르기나 성량은 적당한지 / 몸을 불필요하게 움직이지는 않는지/ 자신이 주로 쓰고 있는 습관은 없는지 이런 부분에 대한 체크를 해보면 정말 발표다운 발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유투브에서 스타 강사들의 영상을 탐구해 보아도 좋고, 실제로 그들은 어디서 숨을 쉬고 어디서 말을 빠르게 하는지까지도 자신이 이야기하는 주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한마디로 강약조절에 능한 자들이니까.^^ 

5. 평가 및 반성

  • 발표 상황에 알맞은 매체 자료를 활용하는가?
  • 발표 상황에 알맞은 주제를 정하는가?
  • 발표 자료에 주제가 잘 드러나는가?
  • 발표 주제에 알맞은 내용과 장면으로 구성하는가?
  • 듣는 사람을 배려해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고 바르고 고운 언어를 사용하는가?
  • 비유적 표현과 음악처럼 효과적인 표현을 사용하는가?
  •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하는가?

다음과 같은 기준을 가지고 발표 영상을 상호 평가한다. 수업해 보면 정말 재미있지 않을까 싶다. 특히 요즘은 셀프 브랜딩이 대세인데, 다른 이들과 다른 나만의 특징이 있다면 그건 얼마나 큰 자산일지, 나를 이해하기 와 더불어 말의 속도와 빠르기까지 연습을 최소한 3-4번은 하게 되는 , 그냥 발표 한번 하고 땡 하는 수업이 아닐 거 같아서 기대가 된다. 약 한달 뒤에 아이들이랑 직접 해보고 또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