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최고의 흥행 영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탑건 : 매버릭! 영화는 실제 조종을 하기 위해 훈련을 받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10G의 중력을 견디기 위해 가상 현실임에도 그 이상으로 훈련을 하는 매버릭. 그는 군사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12명의 조종사를 가르치는 교관으로 발탁되고, 그들에게 시범 주행을 통해 작전을 수행하는 연습을 시키며 실제 상황에서 작전 성공률을 높이려고 한다. 영화는 가상현실 속 훈련과 실제 전투 사이에서 2시간의 러닝타임을 무색하게 만들 만큼 몰입감을 준다. 실제와 똑같은 시뮬레이션 상황으로 연습을 시키는 것은 당연히 실전에서 할 실수를 방지하고 적이 나타났을 때 상황에 대한 대처, 목표물을 발견했을 때 조준의 타이밍, 고도차이에 따른 신체 변화에 대한 습득 등을 통해 더 잘 배우기 위함이었다. 그렇다면 학습자가 배울 때 주변 환경은 어떤 영향을 주는가?
1. 맥락 의존적 학습
뇌의 기억의 관문인 해마에는 '해마장소영역'이라고 부를 수 있는 PPA라는 곳이 있다. PPA는 지속적으로 해마를 통해 정보를 공급한다. 그리고 PPA에서 처리된 정보들이 우리가 만들어 내는 거의 모든 기억에 작용한다. 그렇다면 PPA는 어떻게 정보를 처리할까?
[ 실험 1 ] 수십개의 일상적인 사물들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최대한 많이 기억해 낼 것을 요청
- 아무런 배경이 없는 흰색 바탕 위에 배치된 의자나 스탠드 등의 사물에는 피실험자들의 PPA가 반응하지 않았다.
- 하지만 배경이 실제 사무실이나 방 안과 같은 '공간'에 배치된 의자나 책상을 볼 때는 피실험자들의 PPA가 강력하게 활성화 되었다.
이처럼 PPA는 '주변 환경의 물리적 특성들'을 새로운 기억에 자동으로 암호화하고 내장한다. 나아가 공간의 레이아웃과 마찬가지로 이 물리적 특성들을 기억을 재구성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안내 단서로 사용한다.
[ 실험 2 ] 심해 잠수부들에게 바닷속 6미터 깊이에서 자신들이 제시한 단어의 목록을 외울 것을 요청
한 그룹은 어제 입수했던 바닷속 6미터 깊이의 공간으로 다시 돌아갔고, 남은 한 그룹은 육지에 남았다. 이튿날 바닷속 6미터 깊이의 공간으로 다시 돌아간 잠수부들이 육지에 남은 잠수부들보다 35퍼센트 이상 더 많은 단어를 기억해 냈다. 환경에는 단순히 물리적 기능만이 포함되는게 아니라 냄새, 소리, 질감 등도 환경의 '감각적 측면'을 형성해 우리가 만들어내는 각각의 기억들 내에 암호화된다. 바닷속으로 다시 돌아갔을 때 그들의 PPA 에는 자동적으로 푸른 바닷물, 화려한 색깔의 산호초, 열대어들이 무의식적으로 새로운 기억으로 암호화하고 내장되어 그들이 외운 단어목록을 떠올리는데 도움을 준 것이다. 우리가 '어디에서' 배우는지는 우리가 배우는 것의 필수적인 측면을 형성한다. 이것을 '맥락 의존적 학습'이라고 부른다. 자신의 여자친구 혹은 남자친구가 뿌렸던 향수와 비슷한 냄새를 맡거나, 자주 불렀던 노래를 들으면 그 사람이 생각나는 것은 이런 맥락 의존적 학습의 효과다. 우리가 학습을 잘하고 싶다면 실제 환경과 비슷한 환경에서 연습을 해야 한다.
2. 상태 의존적 학습
외부 환경과 함께 우리가 형성하는 새로운 기억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바로 우리의 '내부 환경'이다. 우리가 배우는 동안 느끼는 감정 또한 우리가 궁극적으로 배우는 것의 필수적인 측면을 형성한다.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하고 외국어로서 영어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외국어에 대해 재미를 느낄수록 학습자가 더 잘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화학적 상태(술, 약물 등)도 새로운 기억에 작용한다. 그래서 일부 운동선수들은 약물에 의존하기도 하고, 알코올 중독자들은 술을 마시지 않으면 생활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태 의존성은 학습자가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3. 독립성 찾기
우리가 배운 것들이 특정 맥락에서 분리되어 언제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가지려면 '다양한' 상황들에 노출되어 일화적 기억들이 의미적 기억으로 변해야 한다. 일화적 기억이란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묶여 있는 사실이나 사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해가 오늘 아침에 6시 57분에 떴다. 햇빛이 강렬해서 이때 일어날 수 밖에 없었다."는 발화자가 경험한 일화적 기억에 해당한다. 하지만 의미적 기억은 어떤 특정한 시간과 장소와 무관한 사실이나 사건을 의미한다. "해는 늘 동쪽에서 뜬다. "와 같이 시간과 장소와는 무관한 것을 말한다. 한 장소 또는 특정한 환경에서만 공부와 훈련과 연습을 한다면, 우리의 학습은 그 특정한 위치나 상황에 밀접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같은 맥락 속에서는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그 밖의 다른 공간에서는 미흡한 성과를 기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장소나 환경에서 공부와 훈련과 연습을 한다면, 학습은 특정한 장소와 상황에서 분리된다. 그러면 우리는 다양한 상황과 조건, 새로운 맥락 속에서도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수학에서 1+1=2를 가르치는데 다양한 물건을 가지고 1+1=2가 되는 상황을 이야기해주는 것은 이를 통해 일화적 기억을 1+1=2라는 의미적 기억으로 바꾸어 저장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학습자의 외부 환경(맥락)과 내부 환경(상태)가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 보았다. 잘 배우고 싶다면, 자신이 실제로 그 행동을 할 환경과 비슷한 곳에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운동 선수들이 전지 훈련을 가는 것은 경기가 있을 곳에서 연습을 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그곳에서 익힌 것들이 실전에서 자연스럽게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자신의 내부 환경(상태)을 실전에 임하는 마음가짐으로 하기 위해 친선 경기라는 것을 한다. 실전을 연습처럼, 연습을 실전처럼이라는 말은 이러한 정신 (내부환경)을 무장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해준다. 또한 최대한 다양한 곳에서 연습해야 한다.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이 있는 연습 상황은 가장 좋은 훈련상황이 된다.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 또한 뛰어난 성과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과 기억사이 : 일관성 유지와 예측 (1) | 2022.08.19 |
---|---|
힘에 대한 이해 : 권력의 원리 (0) | 2022.08.18 |
무에서 유를 만들어 내는 법 : 기획의 정석 (0) | 2022.08.03 |
부자가 되는 1법칙 : 소망 (0) | 2022.08.01 |
결합 : 시각과 청각 (0) | 2022.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