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결합 : 시각과 청각

by Hiiiiiit! 2022. 7. 27.
반응형

 얼굴 없는 가수를 들어보았는가. 가수 김범수가 대표적으로 얼굴 없는 가수 전략을 사용해 성공한 케이스이다. 만약 김범수가 처음부터 얼굴을 알리면서 노래를 불렀다면? 물론 장기적으로는 노래실력이 최상급이기 때문에 인정을 받았겠지만 드라마틱한 효과는 얻기 어려웠을 것이다. 아이돌들을 뽑을 때, 노래 실력만으로 뽑지 않고 외모를 보는 것은 시각과 청각의 결합 효과 때문이다. 눈에 보이는 것(시각)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청각)을 이끈다. 이영애의 목소리가 고혹적으로 느껴지는 것도 이영애가 가진 우아한 외모의 아우라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시각이 청각을 이끄는 것은 아니며, 청각 또한 시각을 이끈다. 일명 '환각 효과'(감각 기관을 자극하는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마치 어떤 사물이 있는 것처럼 지각하는 효과)이다. 

  시각과 청각은 서로 다른 정보 처리 경로를 사용한다. 두 개의 정보 사이에는 병목 현상 따위는 없으며 청각과 시각을 하나의 통합된 신호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을 '감각 통합'이라고 한다. 감각통합의 재미있는 점은 1+1=2의 방식으로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감각 통합은 적층 프로세스(A+B=A and B)가 아닌 생태학적 프로세스(A+B=C)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청각과 시각의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인가?

 시각 이미지는 텍스트의 긴 문장을 하나로 함축할 만큼 엄청난 양의 정보를 담고 있다. 현대인들이 책보다는 유투브를 보는 것도 시각 이미지가 주는 편의성 때문일 것이다. 한 글자 한 글자를 읽는 것보다 많은 정보가 담겨있는 시각 이미지들이 동영상으로 만들어져 나에게 주는 자극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각 이미지는 모두에게 같은 생각과 이해를 심어준다. 단어로 어떤 이미지를 설명했을 때는 그 단어에 대한 이해가 다 다르기 때문에 읽는 이들의 머릿속에 다른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면 구체적 이미지를 동일하게 보여줄 수 있다. 

시각과 청각을 결합한 설민석 강의

 시각 이미지가 모두에게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는 만큼 방대한 양의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시각 이미지를 사용할 때에는 가장 효과적인 이미지 자료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멋들어진 이미지를 찾기보다는 효과적인 이미지에 스토리를 다듬어 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 부분을 읽으며 시각과 청각을 결합해 효과적으로 강의를 전달한 강사로 설민석 강사님이 생각났다. 역사를 전달하는 다른 강사들과는 차별되는 흡입력 있는 설명과 그 설명을 뒷받침하는 시각적 배경화면으로 타 강사에 비해 몰입도가 상당했다. 누군가에게 내가 아는 것을 잘 전달하고 싶다면 어떤 이미지 위에 내 설명을 덧입혀야 가장 쉽게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